[개념] Serializable vs Parcelable ??
액티비티 간 클래스 데이터를 전달할 때 직렬화를 적용해서 전달함. Serializable - 표준 Java Interface - 구현이 간편한 대신 내부적으로 Reflection을 사용하여 직렬화를 처리한다. 즉, 많은 추가 객체가 생성되어서 가비지 컬렉션 비용이 높아짐. - 용량이 큼 Parcelable - Android SDK Interface - 필수 메서드를 구현해야 되서 boilerplate code가 늘어남. 내부적으로 Reflection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성능상 이점이 생김. 성능 이슈 - 기본 방식으로 구현 할 시에는 Serializable 방식이 Parcelable 보다 느리다. - Serializable 방식에서 readObject()와 writeObject() 메서드를 구현할 시..
카테고리 없음
2020. 3. 19. 01:2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qtwebengine
- RecyclerView
- Parcelable
- 리사이클러뷰 확장
- git server
- security.ubuntu.com
- 자동 배포
- build server
- jitpack
- publish opensource
- serializable
- kotlin
- 오픈 소스 배포
- expandable recyclerview
- Git
- C++
- git hook
- Jenkins
- auto depoly
- kotlinx serialization
- android serialization
- type inference
- delete item
- ubuntu 16.04
- weak_ptr
- swip
- data transfer
- remove item
- android open source
- Apach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