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jenkins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jenkins 설치$ wget -q -O - http://pkg.jenkins-ci.org/debian/jenkins-ci.org.key | sudo apt-key add -$ sudo sh -c 'echo deb http://pkg.jenkins-ci.org/debian binary/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jenkins2. jenkins port 변경jenkins는 tomcat과 같은 8080 port가 기본이므로 다른 port로 변경하겠습니다.$ sudo vi /etc/default/jenkinsHTTP_PORT = 8081..
빌드 서버 구축을 해보자. 보통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개발하게 되면 소스 관리에 애를 먹습니다. 저도 몇개월만 지나도 소스 파악이 굉장히 힘들어지는걸 많이 경험했기 때문에 형상 관리 서버만 구축할려고 했는데.. 하는 김에 자동화 빌드 서버는 일단 구축하면서 자료나 남겨볼까 하는 마음에 빌드 서버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뭐.. 빌드 서버 관련된 내용은 구글에서 찾아보면 많기 때문에 검색을 이용하시고 보통 형상관리/빌드/배포를 자동화 하기 위해 구축하게 됩니다. 구축을 위해 설치해야될 것은 무엇인가?저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ubuntu 서버에 apache +git + jenkins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ubuntu 16.04apache2gitjenkins
- Total
- Today
- Yesterday
- expandable recyclerview
- build server
- serializable
- Apache
- Parcelable
- 자동 배포
- security.ubuntu.com
- delete item
- Jenkins
- weak_ptr
- 리사이클러뷰 확장
- RecyclerView
- data transfer
- jitpack
- qtwebengine
- kotlinx serialization
- android open source
- auto depoly
- swip
- publish opensource
- android serialization
- remove item
- type inference
- git server
- git hook
- C++
- 오픈 소스 배포
- Git
- ubuntu 16.04
- kotli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